4월 2일 월요일, 신정승 前주중 대사님께서 ‘통일외교를 위한 중국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강의는 중국은 어떤 국가인지에 대한 내용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인구, 민족, 정치체제, 경제, 국방 분야 등에 대한 이해들이 앞으로 중국의 행보를 예측하고 대응하는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대사님은 시진핑 중국 주석의 주요 정책에 대해 자세히 다뤄주셨습니다. 시진핑 중국 주석은 작년 10월에 있었던 19차 당대회를 통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중국몽)과 단계적 목표에 대한 기조를 발표했고,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중국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주변국들과의 대외관계도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국의 과제라고 하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반도 통일은 현 동북아 국제정치 질서에 큰 변화를 초래하여 중국의 전략적인 상황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은 현상유지를 바라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셨습니다.
이에 따라 대사님께서는 통일에 대한 중국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한반도의 통일이 중국에도 이로울 것이라는 논리를 발전시켜 중국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중국과 연결되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한반도 통일 지지기반을 형성해야한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수강생들의 열정에 9시가 훌쩍 넘어서까지 질의 응답이 이어졌는데요! 다음 주는 ‘한반도 통일과 일본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이준규 전 주일대사님의 강의가 있습니다. 앞으로 있을 통일외교 아카데미에도 많은 관심과 응원 바랍니다:)
4월 2일 월요일, 신정승 前주중 대사님께서 ‘통일외교를 위한 중국의 역할과 과제’라는 주제로 강의를 해주셨습니다.
강의는 중국은 어떤 국가인지에 대한 내용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인구, 민족, 정치체제, 경제, 국방 분야 등에 대한 이해들이 앞으로 중국의 행보를 예측하고 대응하는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대사님은 시진핑 중국 주석의 주요 정책에 대해 자세히 다뤄주셨습니다. 시진핑 중국 주석은 작년 10월에 있었던 19차 당대회를 통해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중국몽)과 단계적 목표에 대한 기조를 발표했고,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중국의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주변국들과의 대외관계도 안정적으로 유지해 나가는 것이 중국의 과제라고 하셨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반도 통일은 현 동북아 국제정치 질서에 큰 변화를 초래하여 중국의 전략적인 상황에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중국은 현상유지를 바라고 있는 상황이라고 하셨습니다.
이에 따라 대사님께서는 통일에 대한 중국의 태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한반도의 통일이 중국에도 이로울 것이라는 논리를 발전시켜 중국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중국과 연결되는 다양한 채널을 통해 한반도 통일 지지기반을 형성해야한다고 말씀해 주셨습니다.
수강생들의 열정에 9시가 훌쩍 넘어서까지 질의 응답이 이어졌는데요! 다음 주는 ‘한반도 통일과 일본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이준규 전 주일대사님의 강의가 있습니다. 앞으로 있을 통일외교 아카데미에도 많은 관심과 응원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