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20]
(전략)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성분’과 관련해 북한 사정에 밝은 전문가들은 충성심과 전투력이 입증된 ‘중간계층’ 자녀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과거 엘리트 계층에서 남파 간첩 등 대외 공작원을 선발한 것과 달리,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대다수는 중간계층 출신일 개연성이 크다는 분석이다.(중략)
북한은 과거 대외 공작원을 핵심 계층 출신 엘리트로 충원했다. 김일성·김정일 등 김 씨 일가와 조선노동당에 대한 충성심이 커 ‘배신’할 염려가 적다는 판단에서다. 같은 맥락에서 휴전선 일대 ‘전연부대’에도 믿을 만한 성분의 장병을 배치했다.(중략) 최근 북한의 이른바 ‘백’ 있는 집안에선 질병을 핑계로 진단서를 만들어 자녀의 복무를 면제받는다고 한다. 고위층 자녀 사이에서 선호되는 군 복무지는 제대 후 보위부 등 권력기관 진출이 유리한 정치범수용소 경비병이나 뇌물을 받기에 용이한 국경경비대다. 특수부대는 대우가 좋은 편이지만 훈련 강도가 세서 고위층 출신은 대개 기피한다고 한다.
현재까지 파병 북한군이 어떤 사회적 배경을 지녔는지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많지 않다.(중략)
현재까지 알려진 파병 북한군의 사회적 배경에 대해 지성호 지사는 “북한 의사, 과학자의 사회적 지위는 한국 사회와는 전혀 다르다. 권력기관에 속한 당 고위 간부나 장사로 돈을 많이 번 집안과 달리, 중간계층에 속한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함북 출신인 지 지사는 이어서 “파병을 가족조차 알 수 없도록 비밀리에 진행한 점, 특정 지역 출신은 배제한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서 북한 정권이 굉장히 치밀하고 조심스럽게 움직였다는 느낌을 받는다”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북한 당국은 이번 러시아 파병에서 함북을 비롯해 국경 출신은 배제한 것으로 보인다. 본래 함북 사람들이 북한에서도 성격이 센 편이다. 게다가 국경을 통해 탈북하는 사람도 많다. 탈북민 약 3만4000명 중 2만 명에 달하는 60%가 함북 출신이다. 탈북민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만난 함북 주민 중에선 ‘남한식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며 북한 정권에 강한 반감을 드러낸 경우도 적잖았다. 국경이 가까워 외부 상황을 비교적 쉽게 알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북한 당국이 함북 출신 병사를 파병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휴전 드라이브’로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3월 11일(현지 시간) ‘30일 임시 휴전안’에 합의했다. 종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파병 북한군, 특히 우크라이나군에 포로로 잡힌 장병들의 거취에도 이목이 쏠린다. 파병 북한군의 인권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김유니크 북한인권정보센터 조사분석원은 “포로로 잡힌 북한군이 북한으로 송환될 경우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지 못했다’는 이유 등으로 심각한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국제법의 강제송환금지 원칙에 따라 대한민국이 우크라이나 정부와 협력해 북한군 포로들에게 한국으로 송환될 수 있는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원문: https://weekly.donga.com/politics/article/all/11/5502172/1
[2025-03-20]
(전략)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의 ‘성분’과 관련해 북한 사정에 밝은 전문가들은 충성심과 전투력이 입증된 ‘중간계층’ 자녀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과거 엘리트 계층에서 남파 간첩 등 대외 공작원을 선발한 것과 달리,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 대다수는 중간계층 출신일 개연성이 크다는 분석이다.(중략)
북한은 과거 대외 공작원을 핵심 계층 출신 엘리트로 충원했다. 김일성·김정일 등 김 씨 일가와 조선노동당에 대한 충성심이 커 ‘배신’할 염려가 적다는 판단에서다. 같은 맥락에서 휴전선 일대 ‘전연부대’에도 믿을 만한 성분의 장병을 배치했다.(중략) 최근 북한의 이른바 ‘백’ 있는 집안에선 질병을 핑계로 진단서를 만들어 자녀의 복무를 면제받는다고 한다. 고위층 자녀 사이에서 선호되는 군 복무지는 제대 후 보위부 등 권력기관 진출이 유리한 정치범수용소 경비병이나 뇌물을 받기에 용이한 국경경비대다. 특수부대는 대우가 좋은 편이지만 훈련 강도가 세서 고위층 출신은 대개 기피한다고 한다.
현재까지 파병 북한군이 어떤 사회적 배경을 지녔는지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많지 않다.(중략)
현재까지 알려진 파병 북한군의 사회적 배경에 대해 지성호 지사는 “북한 의사, 과학자의 사회적 지위는 한국 사회와는 전혀 다르다. 권력기관에 속한 당 고위 간부나 장사로 돈을 많이 번 집안과 달리, 중간계층에 속한다고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함북 출신인 지 지사는 이어서 “파병을 가족조차 알 수 없도록 비밀리에 진행한 점, 특정 지역 출신은 배제한 것으로 보이는 점 등에서 북한 정권이 굉장히 치밀하고 조심스럽게 움직였다는 느낌을 받는다”며 다음과 같이 설명했다.
“북한 당국은 이번 러시아 파병에서 함북을 비롯해 국경 출신은 배제한 것으로 보인다. 본래 함북 사람들이 북한에서도 성격이 센 편이다. 게다가 국경을 통해 탈북하는 사람도 많다. 탈북민 약 3만4000명 중 2만 명에 달하는 60%가 함북 출신이다. 탈북민을 구출하는 과정에서 만난 함북 주민 중에선 ‘남한식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며 북한 정권에 강한 반감을 드러낸 경우도 적잖았다. 국경이 가까워 외부 상황을 비교적 쉽게 알 수 있는 지역이기도 하다. 그런 점에서 북한 당국이 함북 출신 병사를 파병에서 제외한 것으로 보인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휴전 드라이브’로 미국과 우크라이나는 3월 11일(현지 시간) ‘30일 임시 휴전안’에 합의했다. 종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파병 북한군, 특히 우크라이나군에 포로로 잡힌 장병들의 거취에도 이목이 쏠린다. 파병 북한군의 인권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김유니크 북한인권정보센터 조사분석원은 “포로로 잡힌 북한군이 북한으로 송환될 경우 ‘임무를 완벽히 수행하지 못했다’는 이유 등으로 심각한 처벌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국제법의 강제송환금지 원칙에 따라 대한민국이 우크라이나 정부와 협력해 북한군 포로들에게 한국으로 송환될 수 있는 선택권을 보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기사원문: https://weekly.donga.com/politics/article/all/11/550217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