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한 건물 3층. 사단법인 북한인권정보센터 사무실입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1990년대 후반부터 북한인권 관련 기록물을 수집, 기록하고 있는데요. 지난해 12월 15일, 사무실 내 공간 일부를 할애해 북한인권박물관을 개관했습니다.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다양한 전시품으로 공간이 꽉 차있습니다. 지난 20여 년간 수집한 북한 인권을 기록한 자료 중 일부가 전시돼 있고 탈북민들의 생생한 증언을 담은 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 있습니다. 탈북민들이 기증한 북한 물건을 한곳에 모아둔 공간, 탈북 작가의 작품들까지 알차게 구성돼 있는데요. 첫 기획 전시 제목은 <낯선 말, 표현의 그림자>. 이번 전시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북한인권정보센터 김수진 연구원의 설명입니다.
(인터뷰-김수진) 말과 관련된 키워드로 이번 전시를 기획했어요. 표현의 자유가 억압된 북한 사회를 보여주고 싶어 ‘표현의 그림자’라는 단어를 선택하게 됐습니다. 또 ‘낯선 말’이라는 제목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요. 북한이탈주민분들이 쓰는 단어를 남한 사람들이 들으면 낯선 느낌이 있잖아요. 단어 중에도 같으면서도 다른 느낌이 있기 때문에 북한에서 흔히 얘기하는 문화어라든지 그런 말도 좀 다른 억양이 있어요. 그래서 거기에서 오는 이질적인 면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남한 사람들에게는 낯선 북한 사람들의 단어, 억양. 반면에 말은 북한 사회에서 처벌의 단초, 억압의 대상인데요. 바로 이런 이유로 인권박물관의 첫 전시는 ‘말’에 대한 것입니다. (중략) 최고 지도자나 조선노동당을 비난하거나 북한 정치체제에 대해 비판하는 말과 행동, 북한 당국을 원망하는 발언… 이런 행위는 모두 북한에서 ‘말반동’으로 처벌되죠. 전시회에서는 ‘말반동’이 나, 내 이웃, 내 친구 누구나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중략)
(김수진 연구원) ‘메아리는 사라지지 않는다’라는 어떤 이런 메시지를 가져가셨으면 좋겠어요. 이 메아리가 곧 북한 주민분들의 어떤 목소리를 속으로 담고 가져가셔서 계속 그 목소리를 되새기고 기억을 해주셨으면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후략)
[RFA 2024-01-16]
(전략)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한 건물 3층. 사단법인 북한인권정보센터 사무실입니다. 북한인권정보센터는 1990년대 후반부터 북한인권 관련 기록물을 수집, 기록하고 있는데요. 지난해 12월 15일, 사무실 내 공간 일부를 할애해 북한인권박물관을 개관했습니다. 규모가 그리 크지 않지만 다양한 전시품으로 공간이 꽉 차있습니다. 지난 20여 년간 수집한 북한 인권을 기록한 자료 중 일부가 전시돼 있고 탈북민들의 생생한 증언을 담은 영상을 보고 들을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 있습니다. 탈북민들이 기증한 북한 물건을 한곳에 모아둔 공간, 탈북 작가의 작품들까지 알차게 구성돼 있는데요. 첫 기획 전시 제목은 <낯선 말, 표현의 그림자>. 이번 전시는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 북한인권정보센터 김수진 연구원의 설명입니다.
(인터뷰-김수진) 말과 관련된 키워드로 이번 전시를 기획했어요. 표현의 자유가 억압된 북한 사회를 보여주고 싶어 ‘표현의 그림자’라는 단어를 선택하게 됐습니다. 또 ‘낯선 말’이라는 제목에는 두 가지 의미가 있는데요. 북한이탈주민분들이 쓰는 단어를 남한 사람들이 들으면 낯선 느낌이 있잖아요. 단어 중에도 같으면서도 다른 느낌이 있기 때문에 북한에서 흔히 얘기하는 문화어라든지 그런 말도 좀 다른 억양이 있어요. 그래서 거기에서 오는 이질적인 면을 보여주고 싶었습니다. 남한 사람들에게는 낯선 북한 사람들의 단어, 억양. 반면에 말은 북한 사회에서 처벌의 단초, 억압의 대상인데요. 바로 이런 이유로 인권박물관의 첫 전시는 ‘말’에 대한 것입니다. (중략) 최고 지도자나 조선노동당을 비난하거나 북한 정치체제에 대해 비판하는 말과 행동, 북한 당국을 원망하는 발언… 이런 행위는 모두 북한에서 ‘말반동’으로 처벌되죠. 전시회에서는 ‘말반동’이 나, 내 이웃, 내 친구 누구나 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중략)
(김수진 연구원) ‘메아리는 사라지지 않는다’라는 어떤 이런 메시지를 가져가셨으면 좋겠어요. 이 메아리가 곧 북한 주민분들의 어떤 목소리를 속으로 담고 가져가셔서 계속 그 목소리를 되새기고 기억을 해주셨으면 하는 마음이 있습니다. (후략)
기사 원문: https://www.rfa.org/korean/weekly_program/c5ecae30b294-c11cc6b8-be0cb77cbcf4-b9c8c774-b77cc774d504/thisisseoul-0116202409092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