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자만 갖고 있었던 이야기 함께 공유하고, 기억해요.
📣 ‘나’의 이야기로 시작되는 ‘우리’의 기억
북한이탈주민 삶의 이야기 나눔 참여자 모집
삶의 궤적이 갈라졌던 그곳, 당신이 마음속에 품고 있던 기억은 어떤 모습인가요?
북한에서의 삶, 탈북의 여정, 그리고 남한에서 새롭게 만들어간 이야기들.
이제는 혼자만 갖고 있었던 기억을 누군가와 함께 나누고, 공감받고, 다음 세대를 위한 기록으로 남기실 수 있도록 작은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 ‘이야기’가 ‘기억’이 되고, ‘기억’이 ‘역사’가 되는 시간
북한, 혹은 탈북 과정에서 간직해온 물건 한 점, 그에 얽힌 소중한 사연, 그리고 낯설었던 순간들을 지나 써내려간 당신만의 여정.
이 자리에서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함께 듣고, 나누며, 기억의 조각을 맞춰갑니다.
행사 개요
일시: 2025년 7월 19일(토) 오후 1시 ~ 4시
장소: 서울시 강남 리조이스(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480)
내용:
- OX퀴즈로 여는 남북한 문화 이해
- ‘기억의 물건’과 함께하는 이야기
- 추억의 음식 나눔 및 교류
- 대한민국에서 마주한 새로운 삶의 풍경과 그 속의 이야기
- 발표자와 관객이 함께하는 질문과 답변
행사 지원: 서울특별시
※ 사정에 따라 행사의 상세 내용은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참여자 모집 일정
- 모집 기간: 2025년 6월 4일(수) ~ 6월 20일(금)
- 선정 공지(개별 연락): 2025년 6월 25일(수)
※ 참여자 확정 후, 행사 전 **사전 만남(1회)**이 있습니다.
장소: 서울 소재 북한인권정보센터 사무실
신청방법
구글 신청서 작성 > https://forms.gle/joH9AquwrmGCogkY9
작성이 어려우신 분들은 전화로 문의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02-723-6045 /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사이)
👥 모집 대상
자신의 이야기와 기억을 함께 나누고 싶은 북한이탈주민 누구나
💬 이야기 시간
선정된 참여자는 행사 당일, 약 15~20분간 본인의 이야기를 나누게됩니다. 이야기는 작가, 영상 크리에이터이신 강하나님의 진행 아래 대화형식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분위기로 이루어집니다.
🧾 참여 혜택
북한인권정보센터에서 여러분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겨드립니다. (북한인권박물관 기록 및 인권 자료로 보존될 수 있습니다) *소정의 사례비 제공
나눴으면 하는 이야기 주제(예)
- 남한이나 북한에서 이사와 거주 이전과 관련된 사연
- 남한이나 북한에서 법과 질서에 대한 사연
- 남한이나 북한에서의 연애, 결혼, 출산과 관련된 사연
- 남한이나 북한에서 자녀 교육(초등학교~대학교)을 하며 겪은 경험
- 본인이 남한이나 북한에서 직접 교육을 받으면서 체험한 이야기
- 남한이나 북한에서 장사, 사업을 하며 겪은 경험
- 남한이나 북한에서의 군대 생활 이야기
- 남한이나 북한에서의 직장 생활에서 있었던 일화
- 기타 일상생활을 하면서 겪은 인상 깊은 체험 등
예상 질문과 답변
🔸 발표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요?
진행자의 진행을 바탕으로 말로 자유롭게 이야기해주시면 되며, 사연에 관련된 물건이나 사진을 함께 보여주시면 됩니다. 원고를 준비하셔도, 편하게 이야기하시듯 나누셔도 괜찮습니다.
🔸 행사 내용은 촬영되나요? 얼굴이나 이름이 공개되나요?
본인의 동의 없이 촬영하거나 외부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름, 얼굴은 모두 참여자와 사전 협의 후 공개 여부를 결정합니다.(촬영 후 모자이크 처리도 가능, 가명 참여 가능)
🔸 사전 만남에서는 무엇을 하나요?
행사 진행방식 안내, 발표할 이야기 구성에 대한 간단한 안내, 발표자 간 인사 등의 시간을 갖습니다. 함께 이야기 흐름을 편안하게 정리해보는 자리입니다.
🔸 이야기를 듣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일반 시민, 인권·통일 관련 관계자, 연구자, 다른 북한이탈주민 등 80명 내외의 다양한 분들을 초대할 예정입니다. 따뜻하고 안전한 분위기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하는 자리입니다.
🔸 이 행사를 진행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NKDB & 북한인권박물관 추진위원회 & 서울시
혼자만 갖고 있었던 이야기 함께 공유하고, 기억해요.
📣 ‘나’의 이야기로 시작되는 ‘우리’의 기억
북한이탈주민 삶의 이야기 나눔 참여자 모집
삶의 궤적이 갈라졌던 그곳, 당신이 마음속에 품고 있던 기억은 어떤 모습인가요?
북한에서의 삶, 탈북의 여정, 그리고 남한에서 새롭게 만들어간 이야기들.
이제는 혼자만 갖고 있었던 기억을 누군가와 함께 나누고, 공감받고, 다음 세대를 위한 기록으로 남기실 수 있도록 작은 무대를 마련했습니다.
🎤 ‘이야기’가 ‘기억’이 되고, ‘기억’이 ‘역사’가 되는 시간
북한, 혹은 탈북 과정에서 간직해온 물건 한 점, 그에 얽힌 소중한 사연, 그리고 낯설었던 순간들을 지나 써내려간 당신만의 여정.
이 자리에서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함께 듣고, 나누며, 기억의 조각을 맞춰갑니다.
행사 개요
일시: 2025년 7월 19일(토) 오후 1시 ~ 4시
장소: 서울시 강남 리조이스(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480)
내용:
행사 지원: 서울특별시
※ 사정에 따라 행사의 상세 내용은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참여자 모집 일정
※ 참여자 확정 후, 행사 전 **사전 만남(1회)**이 있습니다.
장소: 서울 소재 북한인권정보센터 사무실
신청방법
구글 신청서 작성 > https://forms.gle/joH9AquwrmGCogkY9
작성이 어려우신 분들은 전화로 문의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02-723-6045 / 평일 오전 9시~오후 6시 사이)
👥 모집 대상
자신의 이야기와 기억을 함께 나누고 싶은 북한이탈주민 누구나
💬 이야기 시간
선정된 참여자는 행사 당일, 약 15~20분간 본인의 이야기를 나누게됩니다. 이야기는 작가, 영상 크리에이터이신 강하나님의 진행 아래 대화형식으로, 따뜻하고 안전한 분위기로 이루어집니다.
🧾 참여 혜택
북한인권정보센터에서 여러분의 이야기를 기록으로 남겨드립니다. (북한인권박물관 기록 및 인권 자료로 보존될 수 있습니다) *소정의 사례비 제공
나눴으면 하는 이야기 주제(예)
예상 질문과 답변
🔸 발표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나요?
진행자의 진행을 바탕으로 말로 자유롭게 이야기해주시면 되며, 사연에 관련된 물건이나 사진을 함께 보여주시면 됩니다. 원고를 준비하셔도, 편하게 이야기하시듯 나누셔도 괜찮습니다.
🔸 행사 내용은 촬영되나요? 얼굴이나 이름이 공개되나요?
본인의 동의 없이 촬영하거나 외부에 공개하지 않습니다. 이름, 얼굴은 모두 참여자와 사전 협의 후 공개 여부를 결정합니다.(촬영 후 모자이크 처리도 가능, 가명 참여 가능)
🔸 사전 만남에서는 무엇을 하나요?
행사 진행방식 안내, 발표할 이야기 구성에 대한 간단한 안내, 발표자 간 인사 등의 시간을 갖습니다. 함께 이야기 흐름을 편안하게 정리해보는 자리입니다.
🔸 이야기를 듣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일반 시민, 인권·통일 관련 관계자, 연구자, 다른 북한이탈주민 등 80명 내외의 다양한 분들을 초대할 예정입니다. 따뜻하고 안전한 분위기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공감하는 자리입니다.
🔸 이 행사를 진행하는 곳은 어디인가요?
NKDB & 북한인권박물관 추진위원회 & 서울시